배너 닫기
후원하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네이버톡톡
맨위로

수과원,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어류인 금강 어름치, 20여 년 만에 복원에 성공!

20여 년 만에 금강 서식지 내 복원에 성공

등록일 2023년07월20일 11시10분 URL복사 기사스크랩 프린트하기 이메일문의 쪽지신고하기
기사글축소 기사글확대 카카오톡 트위터로 보내기 네이버 밴드 공유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원장 우동식, 이하 수과원)은 1970년대 후반 이후 금강에서 완전히 사라진 천연기념물 제259호, 멸종위기어류 Ⅱ급인 어름치를 20여 년 만에 금강 서식지 내 복원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어름치는 금강과 한강 수계에 분포·서식하는 우리나라 고유 담수어류로 강과 하천의 중·상류 지역의 물이 맑고 바닥에 자갈이 많은 곳에 주로 서식한다.

 

1972년 5월에 금강 어름치의 서식지인 충북 옥천군 이원면 용방리 일대가 천연기념물 제238호(금강 어름치 서식지)로 지정되었으나, 개체수가 감소함에 따라 1978년 8월에는 종 자체를 천연기념물 제259호로 지정하여 보호하였다. 그러나 분포지역과 개체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들어 금강에서는 1970년대 후반 이후 지역절멸 하였으며, 2022년 12월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신규 등재되었다.

 

수과원 중앙내수면연구소는 금강에서 절멸한 어름치의 서식지 내 복원과 종 보존을 위해 지난 1999년부터 같은 종인 한강 어름치를 활용하여 친어양성과 인공수정을 통한 대량생산기술 개발을 시작하여 2001년 인공종묘 생산기술을 확립하였다.

 

이후, 금강 전 구간에서 어름치가 복원될 수 있도록 2001년 금강 상류지역인 전북 무주군의 남대천을 시작으로 금강 본류인 충북 옥천군(2013~2017)과 충남 금산군(2018~현재)에 인공종자 방류를 추진하는 한편, (사)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와 함께 해마다 서식지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다.

 

그 결과, 2020년 이후 해마다 충남 금산군 일대의 금강 본류에서 산란을 준비중인 어미 어름치와 산란탑 및 20cm 이하 준성어의 서식을 확인하였고, 특히, 올해에는 3~4cm인 당년생 개체(올해 태어난 치어)까지 확인하였다.

 

이로써 서식지 내 복원 추진 연구 20여 년 만에 무주군에서 충남 금산군 일대의 금강 본류지역에 어름치가 완전 정착하여 복원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우동식 국립수산과학원장은 “지역절멸 상태까지 이른 우리 고유어종을 살리기 위한 여러 연구자들과 민간보존단체의 20여 년에 걸친 집념 어린 노력의 결과로 의미가 큰 성과”라며, “앞으로도 사라져가는 고유 담수어류의 복원과 종 보존, 그리고 내수면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 중앙내수면연구소
 
 
유지현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올려 0 내려 0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가장 많이 본 뉴스

농업 수산업 축산업 임업

포토뉴스 더보기

해당섹션에 뉴스가 없습니다